국소반응 |
심한 국소 반응 |
접종부위 중심으로 발적, 부종과 함께 다음 소견이 나타나는 경우
- 접종부위에서 가장 가까운 관절 부위 너머까지 부종이 나타남
- 통증, 발적, 부종 등이 3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
- 입원치료가 필요한 경우 |
모든 백신 |
주사 부위 농양 |
접종부위에 체액이 고이거나 배출되는 경우 감염의 증거 (예: 화농, 염증소견, 발열, 균배양) 있을 시 세균성, 없을 경우 무균성 |
모든 백신 |
전신반응 |
발열 |
직장체온 38도 이상인 경우 |
모든 백신 |
지속적인 울음 |
3시간 이상 달래지지 않는 울음이 지속되는 경우 |
디프테리아·파상풍·백일해(DTP) |
관절통 |
관절 통증이 대개 사지의 작은 관절에서 발생함 |
홍역·유행성이하선염· 풍진(MMR) |
아나필락시스 |
예방접종 직후 순환기 기능부전 (예: 의식혼탁, 저혈압, 말초맥박소실, 말초혈액 순환부전으로 인한 차갑고 축축한 손발)이 나타나고, 기관지 연축, 후두 연축/부종 등으로 호흡곤란을 초래 하는 경우도 있음 |
모든 백신 |
상완신경염 |
다른 신경계 침범없는 팔/어깨 신경 기능 장애로 접종부위 팔 또는 반대쪽, 양팔에 증상이 발생할 수 있음 |
파상풍 |
경련 |
국소 신경학적 증상이나 증후를 동반하지 않은 전신 발작이 발생한 경우 열을 동반한 경련: 직장체온이 38도 이상일 경우 |
모든 백신, 특히 백일해, 홍역 백신 |
혈소판감소증 |
혈소판 수가 50,000/ml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|
홍역·유행성이하선염· 풍진(MMR) |
림프절염(화농성 림프절염 포함) |
적어도 한 개 이상의 림프절이 1.5cm이상 (어른 손가락 굵기 정도) 커지거나 림프절에 체액이 유출되는 구멍이 형성된 경우 거의 대부분 BCG접종에 의하여 발생하며, 접종 후 2∼6개월 사이에 접종부위와 같은 쪽(대부분 겨드랑이)에 나타남 |
BCG |
BCG 골염/골수염 |
뼈에 발생하는 염증으로 BCG백신 균주(Mycobacterium bovis)가 분리되어 확진 |
|
전신 파종성 BCG 감염증 |
BCG 접종 후 1∼12개월 이내 발생하는 전신 감염으로 BCG백신 균주(Mycobacterium bovis) 분리로 확진된 경우. 대개 면역저하자에게 발생함 |
BCG |
길랑-바레 증후군 |
인체의 면역체계가 말초신경 또는 뇌신경을 공격하여 발생하는 신경의 염증성 질환으로 수 시간 또는 수일에 걸쳐 감각 및 근육마비가 진행함 |
인플루엔자(불활성화 백신) |
뇌병증 |
예방접종 후 급성으로 발생하면서 다음 소견 중 2가지 이상을 동반한 경우
- 발작
- 1일 이상 지속되는 의식 혼탁
- 1일 이상 지속되는 특이 행동
백신과 연관성을 갖기 위해서 DTP는 48시간, MMR/measles은 7∼12일 이내 발생해야 함 |
홍역, 백일해 백신 |
저긴장성 저반응성 에피소드(Hypotonic, hypo responsive episode, HHE) 또는 쇼크허탈 |
10세 이하 소아에서 예방접종 후 48시간 이내(대개 12시간 이내) 갑자기 발생하며, 1분에서 수 시간 지속될 수 있음. 다음 소견이 모두 나타나야 함
∙ 긴장저하 / 반응저하
∙ 창백 또는 청색증 또는 관찰/기억 기능상실 |
대부분 디프테리아·파상풍·백일해(DTP), 드물게 다른 백신도 가능 |
눈호흡증후군(Oculo-respiratory syndrome) |
예방접종 후 24시간 이내 눈 충혈, 호흡기 증상(호흡곤란, 목의 압박, 가슴통증), 얼굴 부종이 발생하는 것으로, 캐나다에서 2000년에 인플루엔자 접종 후 처음 보고됨 |
인플루엔자(불활성화 백신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