「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」 제29조에 따라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 관한 조사를 위하여 다음의 개인정보를 수집합니다.
- 발열에 관계없이 접종 부위에 체액이 고인 병변 발생
-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림프선이 1cm이상 커지거나 림프선에 체액이 유출되는 구멍 형성 - 거의 대부분 BCG 접종 후 2~6개월 사이의 접종부위와 같은 쪽에 나타남
- 접종 부위가 발갛게 부어오름 - 접종 부위에서 가장 가까운 관절부위 너머까지 부종이 나타남 - 통증, 발적, 부종 등이 3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
길랭 - 바레증후군 : 진행성, 상행성 이완성 마비가 좌우대칭으로 급속히 발생하고 마비 발생당시 발열은 없고 감각 이상을 동반
① 간질발작 ② 1일이상 지속되는 의식 혼탁 ③ 1일이상 지속되는 특이행동 이 중 2가지 이상을 동방하는 경우
- 경련이 수분~15분 이상 지속되며, 국소 신경학적 증상이나 증후를 동반하지 않음
- 뇌증에서 언급한 증상과 뇌 염증 증후 동반
① 피부 변변(두두러기, 습진) ② 천명(쌕쌕거림) ③ 안면부종 또는 전신 부종 증상 중 하나 이상을 동반하는 경우
예방접종 후 2시간 이내에 급성으로 ① 기관지 수축으로 인한 천명(쌕쌕거림)과 ② 후두 연축/부종 ③ 한 개 이상의 피부병변(예/:두드러기, 안명부종, 전신부종) 중 한가지 이상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
- 예방접종 직후 순환기 기능부전(예:의식혼탁, 저혈압, 말초맥박 소실, 말초혈액, 순환부전으로 인한 차갑고 축축한 손발)이 나타나고, 기관지 연축, 후두 연축/부종 등으로 호흡곤란을 초래하는 경우 있음
- 관절통이 주로 사지의 작은 관절에 나타남
- BCG 접종 후 1~12개월 이내에 일어나는 전신성 감염
- BCG 접종으로 인한 골감염 또는 다른 세균성 감염에 의하여 발생한 골감염임
- 혈중 혈소판의 수가 50,000/mm3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의미하며 자가면역질환 등의 다른 원인이 없는 경우라야 함 -주로 홍역 백신(MMR)과 관련하여 나타나며 7~30일 이내에 증상 출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