폐렴구균(Streptococcus pneumoniae)은 급성 중이염, 폐렴 및 균혈증, 수막염 등 침습성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균 중의 하나이며, 폐렴구균에 의한 침습성 감염은 영아 및 어린 소아와 65세 이상의 고령자에서 발생 빈도가 높습니다.
폐렴구균 예방접종을 통해 폐렴구균에 의한 감염증 발생을 줄일 수 있습니다.
[표1. 18세 이하 소아청소년에서 단백결합 백신 접종의 대상이 되는 기저질환들]
위험군 | 질환 |
---|---|
정상면역 소아 |
|
기능적 혹은 해부학적 무비증 소아 |
|
면역저하 소아 |
|
* 특히 선천성 청색 심질환과 심부전
+ 고용량의 스테로이드를 경구로 복용하는 천식환자도 포함함
§ B세포(체역면역) 혹은 T세포 결핍증, 보체결핍증(특히, C1, C2, C3 및 C4 결핍증),탐식구 질환
(만성 육아종질환은 제외)
[표2. 19~64세 성인에서 다당 백신 접종의 대상이 되는 기저질환들]
위험군 | 질환 |
---|---|
정상 면역인 |
|
기능적 혹은 해부학적 무비증 가진 자 § |
|
면역저하자 § |
|
* 울혈성 심부전과 심근증 포함
+ 만성폐쇄성 폐질환, 폐기종 및 천식 포함
§ 기능적 혹은 해부학적 무비증 환자나 면역저하자는 1차 다당 백신 접종으로부터 5년이 경과한 후
2차 다당 백신 접종이 권장됨
¶ B세포(체액면역) 혹은 T세포 결핍증, 보체결핍증(특히, C1, C2, C3 및 C4 결핍증), 탐식구 질환
(만성 육아종 질환은 제외)
※ 최근 13가 단백결합 백신이 50세 이상 성인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허가를 받았으나 모든 성인에게
접종을 권고하는 것이 적절한 지에 대한 근거자료는 부족함. 다만 뇌척수액 누출 및 인공와우 이식
환자,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, 면역저하자의 경우 13가 단백결합 백신 접종을 23가 다당질
접종 전에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