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OME > 예방접종 길잡이 >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> 홍역·유행성이하선염·풍진

풍진은 발진, 림프절염을 동반하는 급성 바이러스성 질환입니다. 임신 초기의 임신부가 풍진에 감염될 경우 유산을 하거나 태아에게 선천성 기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- 풍진은 어떻게 전파되나요?
- 비말(미세 침방울) 감염 또는 태아의 경우 태반을 통하여 모체로부터 감염됩니다.
- 풍진의 증상은 무엇인가요?
- 소아는 뚜렷한 증상 없이 반점 구진성 발진으로 시작할 수 있으며, 연장아나 성인의 경우에는 미열, 목뒤와 후두부의 림프절 종창 및 상기도 감염이 발진이 나타나기 전 1~5일간 지속될 수 있습니다.
임신 초기에 풍진에 이환될 경우 태아의 모든 장기에 영향을 줄 수 있고 태아사망, 자궁 내 발육부전, 백내장, 난청, 선천성 심장질환(특히 동맥관 개존증), 폐동맥 협착, 소두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감염자의 30∼60%에서 선천적인 기형이 초래됩니다.
- 풍진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?
- 특별한 치료방법은 없습니다. 대다수의 환자가 자연 치유되므로 대증요법으로 충분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.
- 풍진은 어떻게 예방하나요?
- MMR 예방접종을 통해 풍진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.
• 접종대상 및 접종시기
-
- 소아:생후 12~15개월과 만 4~6세에 각각 1회 접종(총 2회)
- 성인:과거 백신 접종기록이 없으면서 해당 감염병에 걸린 적이 없거나 항체가 확인되지 않았다면 적어도 1회 접종
-
※가임기 여성이 MMR 백신을 과거에 1회 또는 2회 접종을 받았더라도 풍진에 대한 항체검사 결과 양성이 아니라면, MMR 백신을 1회 더 접종하며, 총 접종횟수는 3회를 넘지 않도록 함
- MMR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에는 무엇이 있나요?
- MMR 예방접종 후에 생길 수 있는 이상반응은 실제로 드뭅니다. 국소 이상반응으로 접종부위 통증, 압통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, 전신 이상반응으로 발열, 발진, 열성 경련, 혈소판감소증, 관절통 및 관절염, 림프절 비대, 이하선염, 알레르기 반응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